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진행되었다. 레바논이 개최국 자격으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이라크,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중국, 쿠웨이트, 일본,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이란이 각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AFC 아시안컵 - 2000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00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2000년 레바논에서 열린 AFC 아시안컵에 참가한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 대표팀의 선수 명단을 각 조별로 정리하여 감독 및 포지션별 선수 정보를 제공한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을 공유하여 4단계로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여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다퉜으며, 개최국 참가 및 동티모르 몰수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72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72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중부, 동부, 서부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태국, 크메르 공화국, 대한민국, 이라크,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AFC 아시안컵에 관한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랍권 대회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FIFA 자격 정지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198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이후 2026년 FIFA 월드컵과 2027년 AFC 아시안컵을 통해 재도약을 준비 중인 쿠웨이트 대표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 AFC 아시안컵에 관한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대한축구협회 창립 후 국제 무대에서 활동하며 월드컵 4강, 아시안컵 2회 우승, EAFF E-1 풋볼 챔피언십 5회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한 '태극전사'로 불리는 팀으로, 붉은색 유니폼과 호랑이 엠블럼을 상징으로 한다.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날짜 | 1999년 8월 3일 – 2000년 4월 9일 |
참가 팀 수 | 42 |
참가 연맹 수 | 1 |
득점왕 | 바샤르 압둘라 (15골) |
이전 대회 | 1996년 |
다음 대회 | 2004년 |
2. 조별 리그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0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각 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조 | 이라크 | 9 | 3 | 3 | 0 | 0 | 9 | 2 | +7 |
2조 | 이란 | 13 | 6 | 4 | 1 | 1 | 16 | 2 | +14 |
3조 | 우즈베키스탄 | 12 | 4 | 4 | 0 | 0 | 16 | 2 | +14 |
4조 | 카타르 | 10 | 4 | 3 | 1 | 0 | 11 | 3 | +8 |
5조 | 쿠웨이트 | 12 | 4 | 4 | 0 | 0 | 33 | 1 | +32 |
6조 | 대한민국 | 9 | 3 | 3 | 0 | 0 | 19 | 0 | +19 |
7조 | 인도네시아 | 10 | 4 | 3 | 1 | 0 | 18 | 5 | +13 |
8조 | 태국 | 13 | 6 | 4 | 1 | 1 | 13 | 8 | +5 |
9조 | 중국 | 9 | 3 | 3 | 0 | 0 | 29 | 0 | +29 |
10조 | 일본 | 9 | 3 | 3 | 0 | 0 | 15 | 0 | +15 |
2. 1. 1조
1조에서는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모든 경기가 열렸으며, 이라크가 3전 전승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2. 1. 1. 경기 결과
1조의 모든 경기는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열렸다.- 1999년 8월 3일
- * 오만 3 – 0 키르기스스탄
- 1999년 8월 3일
- * 타지키스탄 1 – 2 이라크
- 1999년 8월 5일
- * 키르기스스탄 2 – 3 타지키스탄
- 1999년 8월 5일
- * 이라크 2 – 0 오만
- 1999년 8월 7일
- * 타지키스탄 2 – 1 오만
- 1999년 8월 7일
- * 이라크 5 – 1 키르기스스탄
'''이라크'''가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2. 2. 2조
2조에서는 이란이 4승 1무 1패, 시리아가 4승 1무 1패를 기록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이란이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바레인은 3승 3패, 몰디브는 6전 전패를 기록했다.2. 2. 1. 경기 결과
- 시리아 알레포에서 개최됨.
날짜 | 팀 1 | 팀 2 | 경기장 | |
---|---|---|---|---|
2000년 3월 31일 | 몰디브 | 0 – 8 | 이란 | 알-하마다니아 경기장, 알레포 |
2000년 3월 31일 | 시리아 | 1 – 0 | 바레인 | 알-하마다니아 경기장, 알레포 |
2000년 4월 2일 | 바레인 | 4 – 1 | 몰디브 | 알-하마다니아 경기장, 알레포 |
2000년 4월 2일 | 시리아 | 0 – 1 | 이란 | 알-하마다니아 경기장, 알레포 |
2000년 4월 4일 | 바레인 | 1 – 0 | 이란 | 알-하마다니아 경기장, 알레포 |
2000년 4월 4일 | 시리아 | 6 – 0 | 몰디브 | 알-하마다니아 경기장, 알레포 |
- 이란 테헤란에서 개최됨.
날짜 | 팀 1 | 팀 2 | 경기장 | |
---|---|---|---|---|
2000년 4월 7일 | 몰디브 | 1 – 2 | 시리아 | 아자디 경기장, 테헤란 |
2000년 4월 7일 | 이란 | 3 – 0 | 바레인 | 아자디 경기장, 테헤란 |
2000년 4월 9일 | 몰디브 | 0 – 1 | 바레인 | 아자디 경기장, 테헤란 |
2000년 4월 9일 | 이란 | 1 – 1 | 시리아 | 아자디 경기장, 테헤란 |
2000년 4월 11일 | 바레인 | 0 – 1 | 시리아 | 아자디 경기장, 테헤란 |
2000년 4월 11일 | 이란 | 3 – 0 | 몰디브 | 아자디 경기장, 테헤란 |
2. 3. 3조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3조는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에서 모든 경기가 진행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이 4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2. 3. 1. 경기 결과
'''모든 경기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렸다.'''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우즈베키스탄 | 12 | 4 | 4 | 0 | 0 | 16 | 2 | +14 |
-- 아랍에미리트 | 9 | 4 | 3 | 0 | 1 | 12 | 2 | +10 |
-- 인도 | 4 | 4 | 1 | 1 | 2 | 8 | 9 | -1 |
-- 방글라데시 | 4 | 4 | 1 | 1 | 2 | 5 | 12 | -7 |
-- 스리랑카 | 0 | 4 | 0 | 0 | 4 | 2 | 18 | -16 |
- 1999년 11월 20일
- * -- 방글라데시 0 - 6 -- 우즈베키스탄
- * -- 아랍에미리트 3 - 1 -- 인도
- 1999년 11월 22일
- * -- 스리랑카 0 - 6 -- 우즈베키스탄
- * -- 아랍에미리트 3 - 0 -- 방글라데시
- 1999년 11월 24일
- * -- 스리랑카 1 - 3 -- 방글라데시
- * -- 인도 2 - 3 -- 우즈베키스탄
- 1999년 11월 26일
- * -- 스리랑카 1 - 3 -- 인도
- * -- 아랍에미리트 0 - 1 -- 우즈베키스탄
- 1999년 11월 28일
- * -- 인도 2 - 2 -- 방글라데시
- * -- 아랍에미리트 6 - 0 -- 스리랑카
2. 4. 4조
4조에서는 카타르가 3승 1무로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카타르 외에 카자흐스탄(3승 1패), 요르단(2승 1무 1패), 팔레스타인(1승 3패), 파키스탄(4패)이 4조에 속해 있었다.2. 4. 1. 경기 결과
'''모든 경기는 카타르 도하에서 열렸다.'''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카타르 | 10 | 4 | 3 | 1 | 0 | 11 | 3 | +8 |
-- 카자흐스탄 | 9 | 4 | 3 | 0 | 1 | 8 | 3 | +5 |
-- 요르단 | 7 | 4 | 2 | 1 | 1 | 12 | 4 | +8 |
-- 팔레스타인 | 3 | 4 | 1 | 0 | 3 | 3 | 8 | -5 |
-- 파키스탄 | 0 | 4 | 0 | 0 | 4 | 0 | 16 | -16 |
- 2000년 3월 31일: -- 카타르 1 - 0 -- 팔레스타인
- 2000년 3월 31일: -- 요르단 0 - 1 -- 카자흐스탄
- 2000년 4월 2일: -- 팔레스타인 2 - 0 -- 파키스탄
- 2000년 4월 2일: -- 카타르 3 - 1 -- 카자흐스탄
- 2000년 4월 4일: -- 팔레스타인 1 - 5 -- 요르단
- 2000년 4월 4일: -- 카타르 5 - 0 -- 파키스탄
- 2000년 4월 6일: -- 카자흐스탄 2 - 0 -- 팔레스타인
- 2000년 4월 6일: -- 파키스탄 0 - 5 -- 요르단
- 2000년 4월 8일: -- 파키스탄 0 - 4 -- 카자흐스탄
- 2000년 4월 8일: -- 카타르 2 - 2 -- 요르단
2. 5. 5조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5조는 쿠웨이트에서 열렸으며, 쿠웨이트가 4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투르크메니스탄이 3승 1패로 2위, 예멘이 2승 2패, 네팔이 1승 3패, 부탄이 4전 전패를 기록했다. 특히 쿠웨이트는 부탄과의 경기에서 20-0 대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당시 FIFA A급 경기에서 가장 큰 점수 차 승리였다.2. 5. 1. 경기 결과
모든 경기는 쿠웨이트에서 열렸다.경기 | 결과 |
---|---|
2000년 2월 10일: 쿠웨이트 vs 투르크메니스탄 | 6 - 1 |
2000년 2월 10일: 네팔 vs 예멘 | 0 - 3 |
2000년 2월 12일: 예멘 vs 투르크메니스탄 | 0 - 1 |
2000년 2월 12일: 부탄 vs 네팔 | 0 - 3 |
2000년 2월 14일: 쿠웨이트 vs 부탄 | 20 - 0 |
2000년 2월 14일: 투르크메니스탄 vs 네팔 | 5 - 0 |
2000년 2월 16일: 쿠웨이트 vs 예멘 | 2 - 0 |
2000년 2월 16일: 부탄 vs 투르크메니스탄 | 0 - 8 |
2000년 2월 18일: 예멘 vs 부탄 | 11 - 2 |
2000년 2월 18일: 쿠웨이트 vs 네팔 | 5 - 0 |
2. 6. 6조
6조에서는 대한민국이 3전 전승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미얀마, 라오스, 몽골을 상대로 모두 승리하며 조 1위를 차지했다.2. 6. 1. 경기 결과
'''모든 경기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렸다.'''
; 2000년 4월 5일
- Myanmar영어 2 – 0 Mongolia영어 (동대문운동장)
:* Myanmar영어 득점: 소 미앗 민 (74분), 묘 흘라잉 윈 (86분)
:* 대한민국 득점: 심재원 (32분), 김은정 (45분, 67분, 71분), 이천수 (50분), 설기현 (58분, 77분, 86분), 안효연 (75분)
; 2000년 4월 7일
- Myanmar영어 4 – 0 Laos영어 (동대문운동장)
:* Myanmar영어 득점: 묘 흘라잉 윈 (32분, 62분), 아웅 꺄우 모 (43분), 탄 토 아웅 (51분)
:* 대한민국 득점: 안효연 (21분, 24분), 최태욱 (37분, 89분), 최철우 (46분), 이천수 (71분)
; 2000년 4월 9일
- Laos영어 2 – 1 Mongolia영어 (동대문운동장)
:* Laos영어 득점: 켄키티삭 (26분), 홈솜밧 (80분)
:* Mongolia영어 득점: 부만-우크랄 (63분)
:* 대한민국 득점: 설기현 (61분, 67분), 안효연 (78분, 89분)
2. 7. 7조
7조에서는 인도네시아가 3승 1무로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2. 7. 1. 경기 결과
7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9년 10월 18일, 홍콩 몽콕 스타디움(Mongkok Stadium)에서 열린 홍콩과 캄보디아의 경기에서는 홍콩이 4-1로 승리했다. 홍콩의 천 신 수 충(Chen Sin Syu-Chung)은 34분과 52분에 득점했고, 리 킨 우(Lee Kin Wo)는 54분, 왕 치 경(Wong Chi Kyung)은 83분에 득점했다. 캄보디아의 혹 소체트라(Hok Sochetra)는 40분에 득점했다.
- 1999년 10월 24일, 홍콩 몽콕 스타디움(Mongkok Stadium)에서 열린 홍콩과 인도네시아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홍콩의 오 와이 룬(Au Wai Lun)은 62분에, 인도네시아의 로키 푸티라이(Rochy Putiray)는 88분에 득점했다.
- 1999년 10월 30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의 경기에서는 인도네시아가 5-1로 승리했다. 캄보디아의 찬 아룬리쓰(Chan Arunreath)는 72분에 득점했고, 인도네시아의 하리얀토 프라세티오(Haryanto Prasetyo)는 14분, 밤방 파뭉카스(Bambang Pamungkas)는 28분, 로키 푸티라이(Rochy Putiray)는 39분과 46분, 알리 수난(Ali Sunan)은 47분에 득점했다.
- 1999년 11월 7일, 캄보디아에서 열린 캄보디아와 홍콩의 경기에서는 홍콩이 1-0으로 승리했다. 홍콩의 라이 카이 추크(Lai Kai Cheuk)는 58분에 득점했다.
- 1999년 11월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세나얀 스타디움(Senayan Stadium)에서 열린 인도네시아와 홍콩의 경기에서는 인도네시아가 3-1로 승리했다. 인도네시아의 아낭 마루프(Anang Ma'ruf)는 9분, 로키 푸티라이(Rochy Putiray)는 48분, 밤방 파뭉카스(Bambang Pamungkas)는 72분에 득점했고, 홍콩의 오 와이 룬(Au Wai Lun)은 62분에 득점했다.
- 1999년 11월 20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세나얀 스타디움(Senayan Stadium)에서 열린 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의 경기에서는 인도네시아가 9-2로 승리했다. 인도네시아의 로키 푸티라이(Rochy Putiray)는 2분, 38분, 90분에 득점했고, 에코 푸르지안토(Eko Purjianto)는 15분, 임란 나후마루리(Imran Nahumarury)는 33분, 우스톤 나와위(Uston Nawawi)는 40분, 밤방 파뭉카스(Bambang Pamungkas)는 53분과 70분, 위도도 씨 푸트로(Widodo C Putro)는 85분에 득점했다. 캄보디아의 혹 소체트라(Hok Sochetra)는 13분과 58분에 득점했다.
2. 8. 8조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8조에서는 태국이 4승 1무 1패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3승 2무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다.2. 8. 1. 경기 결과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8조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다.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태국 | 13 | 6 | 4 | 1 | 1 | 13 | 8 | +5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1 | 6 | 3 | 2 | 1 | 11 | 7 | +4 |
-- 말레이시아 | 7 | 6 | 2 | 1 | 3 | 12 | 13 | -1 |
-- 차이니즈 타이페이 | 3 | 6 | 1 | 0 | 5 | 3 | 11 | -8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샤알람 스타디움)
- 2000년 3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0 태국
- 2000년 3월 25일: 말레이시아 3 - 0 차이니즈 타이페이
- 2000년 3월 27일: 차이니즈 타이페이 0 - 2 태국
- 2000년 3월 27일: 말레이시아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0년 3월 29일: 차이니즈 타이페이 0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0년 3월 29일: 말레이시아 3 - 2 태국
태국 방콕 (수파찰라이 스타디움)
- 2000년 4월 4일: 차이니즈 타이페이 3 - 2 말레이시아
- 2000년 4월 4일: 태국 5 -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0년 4월 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 1 말레이시아
- 2000년 4월 6일: 태국 1 - 0 차이니즈 타이페이
- 2000년 4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차이니즈 타이페이
- 2000년 4월 9일: 태국 3 - 2 말레이시아
2. 9. 9조
9조에서는 중국이 3전 전승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2. 9. 1. 경기 결과
모든 경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렸다.날짜 | 팀 1 | 점수 | 팀 2 | 비고 |
---|---|---|---|---|
2000년 1월 23일 | 베트남vi | 11 – 0 | 괌 | |
2000년 1월 23일 | 중국중국어 | 8 – 0 | 필리핀 | |
2000년 1월 26일 | 중국중국어 | 19 – 0 | 괌 | |
2000년 1월 26일 | 베트남vi | 3 – 0 | 필리핀 | |
2000년 1월 29일 | 괌 | 0 – 2 | 필리핀 | |
2000년 1월 29일 | 베트남vi | 0 – 2 | 중국중국어 |
2000년 1월 26일에 열린 중국과 괌의 경기는 당시 FIFA A급 경기에서 가장 큰 점수 차이를 기록한 경기였다.
2. 10. 10조
10조에서는 일본이 3전 전승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 10. 1. 경기 결과
모든 경기는 마카오에서 열렸다.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2000년 2월 13일 | -- 마카오 | 1 - 0 | -- 브루나이 | |
2000년 2월 13일 | -- 싱가포르 | 0 - 3 | -- 일본 | 나카자와 유지 (13, 90), 나카야마 마사시 (42' 페널티킥) 득점 |
2000년 2월 16일 | -- 마카오 | 0 - 1 | -- 싱가포르 | 모하메드 사이드딘 아야유딘 살렘 (40' 페널티킥) 득점 |
2000년 2월 16일 | -- 일본 | 9 - 0 | -- 브루나이 | 나카야마 마사시 (1, 2, 4), 미우라 가즈요시 (36), 나카무라 슌스케 (45), 히라노 타카시 (66), 타카하라 나오히로 (75, 88), 사와노보리 마사아키 (85') 득점 |
2000년 2월 20일 | -- 마카오 | 0 - 3 | -- 일본 | 나카야마 마사시 (35, 65), 타카하라 나오히로 (57') 득점 |
2000년 2월 20일 | -- 싱가포르 | 1 - 0 | -- 브루나이 | 모하메드 자니아푸닌 하류 알리 (88') 득점 |
3. 본선 진출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